“지난해부터 7차례나 제기해 온 문제…저혈당 주입 멈춤 기능 오작동 위험 커”
‘당뇨병 환우와 함께하는 시민연대’ 집회 현장
[기업뉴스TV=정민수 기자] 국내 모 제약사에서 개발한 인슐린 주입기 오작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뇌 손상을 입었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이 글에 시민단체가 호응하고 나서며 논란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당뇨병 환우와 함께하는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는 3일, 청주시 소재 식약처 앞에서 집회를 갖고 당국의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집회에서 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인슐린 주입기 오작동 의심 사고로 발생한 저혈당 쇼크로 뇌 손상이 됐다는 환자 어머니의 글을 제보받았다”며 “시민연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9월까지 7차례에 걸쳐 식약처와 보건복지부, 국무총리실 등에 지투이 사의 인슐린 주입기 앱 관련 문제를 지속해서 제기했는데 결국 문제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시민연대는 식약처 첨단제품허가 담당관실과 보건복지부, 국무총리실 등 유관 부서에 당뇨병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허가에 대해 2023년 2월 27일부터 9월 12일까지 7차례에 걸쳐 민원을 제기했다”며 “CGM 연결용 앱 프로그램 중 6종은 현재 국내외에서 허가된 제조사에서 공식 배포 및 공급한 앱이 아닌 의료기기용 앱으로 식약처에도 공식 등록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6종 앱은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무결성에 대한 검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로, 이를 식약처에서 허가한 모 회사의 앱으로 사용하는 것은 환자의 생명과 관련해 위험할 수 있다”며 “사실상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누구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으로 환자 생명과 관련해 문제 발생 시 어느 누가 어떤 책임도 지지 않는 심각한 문제점과 위험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민연대는 식약처에 해당사 제품 기능의 합법성 및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지만, 식약처는 이미 허가했다”며 “더 심각한 것은 저혈당 주입 멈춤 기능은 미국 회사에서 만든 기능임에도 계약이나 허가가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회사와 계약이나 사용 권한 허가 등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사실상 무단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다”라고 성토했다.
아울러 “사이버보안에 취약할 수 있어 해커 공격이나 제조업체에서 데이터 통신을 변경하면 해당 제품의 저혈당 방지 기능은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 저혈당 주입 멈춤 기능의 오작동 위험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 당뇨병 환자에 심각한 문제를 끼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식약처와 식약처를 관리 감독하는 국무총리실은 명확한 답을 내놓고 식약처를 철저히 감독하고 바로잡아 당뇨병 환자를 죽음으로 내몰지 말아야 한다”고 당국의 조치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