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 국정감사, 국회 정문 앞에서 시위 및 기자회견
당뇨병환자 용 CGM 앱 사이버보안 문제 제기, 보건 당국 규탄
당뇨병 환우와 함께하는 시민연대 회원들이 7일 오전 국회 정문 앞에서 국민건강권 외면하는
식약처 규탄, 국무총리실 각성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당뇨병 환우와 함께하는 시민연대 제공)
[기업뉴스TV=권순 기자] ‘당뇨병 환우와 함께하는 시민연대’는 7일 오전 국무조정실과 국무총리비서실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리는 국회 정문 앞에서 국민건강권을 외면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규탄 및 국무총리실에 대한 각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시민연대는 인슐린펌프로 치료받고 있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로 구성되어 현재 약 100여 명의 회원이 모여 환자 권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로, 식약처 첨단제품허가 담당관실과 유관 부서에 당뇨병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심대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허가에 대해 지난해 2월 27일부터 9월 12일까지 7차례에 걸쳐 민원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시민연대에 따르면 국내 업체에서 사용하는 연속혈당모니터(CGM) 6종(Xdrip+, Shuggah, Spike, Glimp, Tomato, LinkBluCon)의 애플리케이션은 의료기기용 앱으로 식약처에 공식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식약처에서 허가한 지투이 사의 ‘DIACONN G8’의 앱으로 사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또한 앱이 사이버보안에 취약할 수 있어 해커에 의한 공격이나 연속혈당측정기 제조업체에서 데이터 통신을 변경하면 ‘DIACONN G8’의 저혈당 방지기능은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 저혈당 주입 멈춤 기능의 오작동 위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2019년 6월 미국 FDA에 의한 미국 매드트로닉 사의 리콜 사례를 예로 들었다.
이준형 시민연대 사무국장은 "식약처는 문제를 알고 있음에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인지, 심각성을 모르고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며 "식약처와 국무총리실은 명확한 답을 내놓고 식약처를 철저히 관리·감독하여 당뇨병환자를 죽음으로 내몰지 말아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