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 시상식에서 최우수 혁신상을 수상한 안동열 쌍용건설 토목기술팀
차장(왼쪽 세번째)과 쌍용건설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쌍용건설 제공)
[기업뉴스TV=정민수 기자] 쌍용건설은 지난 20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4 스마트건설 엑스포’의 ‘스마트건설 챌린지’ 시상식에서 철도 분야 ‘최우수혁신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쌍용건설이 스마트 기술 내재화를 통해 철도건설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2024 스마트건설 챌린지’는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며, 건설 산업 내 안전 인식 확산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을 활성화하는 행사다. 이 대회는 철도, 안전, 단지, 도로, BIM 등 5개 분야에서 유관기관들의 기술 경연을 통해 수상회사를 선정한다.
쌍용건설은 2020년 안전 분야 ‘장려상’을 시작으로, 2022년 BIM 분야 ‘혁신상’, 2023년 단지 분야 ‘혁신상’, 그리고 이번 2024년 철도 분야 ‘최우수혁신상’을 수상하며 3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총 5년간 4회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스마트 건설 기술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이번 철도 분야 경연에서 쌍용건설은 스마트 데이터 관리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현장 관리 방안을 선보였다. 특히,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구조물 간섭 검토, 시공 리스크 최소화,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 등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드론 토공 플랫폼과 건설장비 자동화(Machine Guidance)를 활용하여 기존 측량 방식 대비 작업 능률과 시공성을 각각 70%, 84% 개선하는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도 주목받았다. 이 플랫폼은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근로자의 위치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쌍용건설은 자체 기술 개발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으며, 그중 하나인 SABU(SsangYong All-in-one BIM Utility)는 BIM을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CAD, BIM, 드론 데이터를 통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공성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현장 적용을 더욱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BIM 프로그램 비용 절감과 현장 실무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QR 코드 기반 마감관리 시스템’은 시공성 및 공정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어 현재 국내외 다수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장 사진 관리 플랫폼 ‘Mir Core’도 개발하여 현장 시범 적용 중이다. 이 외에도 스마트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쌍용건설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신규 철도 현장에서도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BIM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공 리스크, 공정 및 개량 계획을 사전 분석하는 한편, 철도 현장의 공종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장비 자동화 기술, 라이다(LiDAR) 측량 및 토공 플랫폼,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등을 단계별로 적용하고 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협력사인 HD사이트솔루션, GSiL과의 협업을 통해 얻은 값진 결과일 뿐만 아니라, 자체 기술 개발로 이룬 성과”라며 “앞으로도 스마트 건설 기술을 지속적으로 내재화하며 혁신적인 건설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