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 (사진=CJ대한통운)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CJ대한통운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인천GDC(Global Distribution Center)에 도입하며 물류센터 자동화 수준을 높였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도입은 단순 반복 작업이었던 파렛트 적재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자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 전 과정의 자율 운영 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 소비자의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다. 주문에 따라 상품을 포장한 뒤 각국으로 향하는 항공편에 실어 보내는 물류 흐름을 가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포장이 완료된 박스를 크기와 도착지별로 나누어 파렛트에 적재하는 '팔레타이징(Palletizing)' 작업이 필수적이다. 기존 팔레타이징 작업은 반복 동작이 많고 허리를 굽히는 자세가 잦아 작업자에게 신체적 부담을 주는 업무로 꼽혀왔다.
이에 CJ대한통운은 박스를 자동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함으로써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대폭 낮추고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이 로봇은 인공지능(AI) 비전 기술을 통해 박스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며, 각기 다른 도착지로 가는 여러 크기의 박스들을 자동으로 분류 및 적재할 수 있다.
특히, 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는 기존의 고정형 팔레타이저와 달리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나의 착지로 가는 파렛트만 작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도착지로 향하는 물량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현재 인천GDC에서는 1대의 장비가 2개 도시로 가는 출고 작업을 동시에 수행 중이다.
이동형 설계의 유연성 또한 큰 강점이다. 바닥 고정 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 및 이동의 유연성을 크게 개선했다. 이는 물류 환경 변화에 더욱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장비에 자체 특허를 보유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에서 들어오는 박스의 크기와 적재 가능 여부를 AI가 판단하여, 적합하지 않은 박스를 버퍼 공간에 임시로 보관한 후 가장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 버퍼 기능을 활용하여 박스의 투입 순서를 최적화하고 파렛트 공간 활용도를 높여 적재율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버퍼 시스템이 넓은 공간과 복잡한 비전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반면, CJ대한통운은 회전형 구조를 적용하여 공간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CJ대한통운은 앞으로도 단순 반복적인 물류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작업자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물류 생산성을 더욱 높여 나갈 계획이다.
CJ대한통운 구성용 자동화개발담당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물류 현장도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강조하며 "국내외 다양한 물류 현장에서 검증된 자동화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재 사우디에서 건설 중인 GDC에도 초격차 기술 역량을 적극 이식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