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수영 티라노축산 대표가 고기를 소분하고 있다. (사진=쿠팡 제공)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쿠팡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소상공인 중 사업 초기 단계에 유의미한 매출 성과를 달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팡은 마켓플레이스 입점 첫해 판매 활성화를 통해 연착륙에 성공하는 소규모 사업자들이 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쿠팡 측에 따르면, 지난해 쿠팡 마켓플레이스에 처음 입점한 판매자 중 연 매출 1억 원에서 2억 원 사이를 기록한 사업자 수가 2023년 대비 21% 증가했다. 또한 입점 첫해에 연 매출 2억 원 이상을 달성한 판매자 수도 같은 기간 19%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3년 전국 소상공인 평균 매출 약 1억 9900만 원과 비교했을 때, 경기 침체 및 내수 둔화 환경 속에서 단일 유통 채널만으로 전국 평균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 사례로, 지난해 11월 쿠팡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인천의 반찬가게 '소이반'은 판매 시작 5개월 만에 월 매출이 입점 초기 대비 9배 증가한 3900만 원을 기록했다. 대구 북구의 정육가공업체 '티라노축산' 역시 지난해 10월 입점 후 최근 월 매출 6700만 원을 달성했다.
이들 소상공인들은 쿠팡 마켓플레이스에서의 초기 매출 성과 요인으로 낮은 수준의 판매 수수료, '착한상점'과 같은 소상공인 판촉 기획전의 활성화, 익일 빠른 대금 정산 시스템인 '셀러월렛', 그리고 추가 비용 없이 제공되는 무료 노출 프로모션 등을 언급하고 있다. '착한상점'은 지방 농어촌 및 중소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상설 기획관으로, 쿠팡의 주요 서비스와 함께 메인 화면에 노출되고 있다.
쿠팡 마켓플레이스, 로켓배송, 로켓그로스 등 쿠팡 플랫폼에 입점한 소상공인은 2023년 기준 23만 명이며, 이들의 총 거래 금액은 12조 원에 달한다. 전체 소상공인 판매자 중 75% 이상이 지방에 소재하고 있어, 쿠팡을 통한 판로 확대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 쿠팡은 정부 및 17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농가, 창업 기업, 사회적 기업 등 다양한 소상공인들의 제품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쿠팡 관계자는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소상공인들의 초기 매출 성장이 확인되고 있다"며 "국내 창업 생태계에 기여하고 소상공인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지원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