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당뇨병학회서 '근육 증가+지방 감량' 동시 구현 신개념 비만 신약 HM17321 작용 기전 공개
임상 진입 앞둔 HM17321, 비만 영장류서 체지방 선택적 감량 및 제지방량 보존 효능 재현
지난 19일 전해민 한미약품 R&D센터 임상이행팀장이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비만 신약 HM17321의
근육 증가 기전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한 연구 결과를 구연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한미약품이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혁신적인 비만 신약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대거 발표하며 글로벌 의료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근육 손실이라는 기존 GLP-1 기반 약물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히려 근육 증가를 유도하는 신개념 비만 신약 후보물질 'HM17321'이 비만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게임 체인저'로 부상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미약품은 이번 학회에서 차세대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 신개념 비만 치료제(LA-UCN2, HM17321), 그리고 경구용 비만 치료제(HM101460) 등 3개 비만 신약에 대한 6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중 HM17321은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의 비만 혁신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 중이다. 이 신약은 GLP-1 등 인크레틴 수용체가 아닌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는 UCN2(Urocortin-2) 유사체로, 한미약품의 첨단 인공지능 및 구조 모델링 기술이 적용됐다.
구연 세션에서 발표된 HM17321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약물은 mTOR 경로 활성화와 당분해(glycolysis) 의존 대사 적응을 통해 근 성장을 유도하며, 근육 내 조절 T세포 활성화를 통해 위성 세포(satellite cell)의 분열과 분화를 촉진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는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사한 근 성장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것으로, 잠재적 독성 위험이 낮고 근육의 양적·기능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번 기전 연구가 임상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설명했다.
다른 비임상 연구에서는 HM17321을 비만 영장류 모델에 장기간 투약한 결과, 체지방을 선택적으로 감량하고 제지방량을 보존하는 효능이 재현됐다. 아울러 혈당 조절 능력 향상, 혈중 중성지질 감소, 혈압 강하 등 대사적 및 심혈관 관련 이점도 함께 확인됐다. 이는 임상 1상 진입을 앞둔 HM17321의 약리적 효능이 인체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유의미한 성과로 평가된다.
한편, 삼중작용제 HM15275는 기존 비만 치료제인 세마글루타이드(위고비)와 터제파타이드(젭바운드, 마운자로) 대비 우월한 체중 감소 효능과 함께 근육량 유지 및 지방량 현저히 감소 등 'Best-in-Class' 잠재력을 입증했다. 경구용 저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 HM101460의 초기 연구 성과도 공개돼 지속적인 약효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개발 방향성을 제시했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전무)은 "한미의 비만 신약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는 현재 시판된 약물들의 한계를 보완하고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종합 솔루션"이라며 "차별화된 혁신 파이프라인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비만 치료의 새로운 이정표를 확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