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와 제주대학교가 7일부터 이틀간 진행하는 ‘2025 해상풍력 기술교류회’에서 참가자들이 전북 부안군에 위치한 한국해상풍력
실증센터를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두산에너빌리티)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제주대학교와 함께 '2025 해상풍력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교류회는 해상풍력 분야의 미래 인재 양성과 기술 교류를 지속함으로써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교류회는 7일부터 이틀간 제주 서남해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영광풍력실증센터 등지에서 진행됐다. 행사에는 제주대학교 교수, 연구원, 학부생 약 20여 명을 비롯해 제주특별자치도청, 제주에너지공사 관계자 등 총 30여 명이 참석하여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깊이 있는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해상풍력 산업 현장을 직접 견학하며 생생한 경험을 쌓았다. 또한, 두산에너빌리티에 재직 중인 제주대학교 졸업생들과 함께하는 진로 토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현장 실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진로 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더불어 지역 인재 양성 간담회를 통해 해상풍력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해상풍력 발전기술은 탄소중립 시대를 이끄는 핵심 동력 중 하나이며, 미래를 위한 인재 양성과 기술 교류는 그 토대가 될 것"이라며 "무탄소 에너지 기술 개발과 더불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상생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해 제주특별자치도와 '2035 제주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위한 상생협력 MOU'를 체결하는 등 청정에너지 기술 확대와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제주 탐라해상풍력, 한림해상풍력, 풍력 연계형 그린수소 생산플랜트 등 제주 지역의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며 지역과의 상생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