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내성암호 공공기관 보안체계 개념도 (사진=LG유플러스 제공)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LG유플러스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의 주요 시스템에 미래 보안 위협에 대비하는 양자내성암호(PQC, Post-Quantum Cryptography) 기반 보안 체계를 적용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 전환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KCA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한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 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려운 수학적 알고리즘을 활용한 차세대 암호 기술이다. 양자 컴퓨터의 발달로 기존 암호 체계의 보안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 정부와 통신 업계를 중심으로 PQC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KCA의 주요 보안 인프라에 PQC 암호 모듈을 적용하고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성능 및 적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대상 시스템으로는 VPN(가상 사설망), VDI(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CBT(디지털 시험장) 등이 포함된다. 특히 모바일 및 윈도 기반 VPN 구간, 인증 서버, 보안 데이터베이스 등에 PQC 기술을 연계하여 연내 실증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적용되는 KCA 시스템은 국가 자격 검정 시험 시스템, ICT 비R&D 기금 사업 정보 관리 시스템 등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사업에서 PQC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허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알고리즘과 한국 양자내성암호연구단(KpqC)이 선정한 7종의 알고리즘 중 정보 시스템 환경에 맞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2020년부터 PQC 기반 전용 회선 및 광전송장비(Q-ROADM)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으며, 올해 1월에는 통합 계정 관리 솔루션 '알파키(AlphaKey)'를 출시하며 기업 대상 보안 서비스 라인업을 확장했다. 특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공동으로 제안한 '광전송망 양자내성암호 적용 표준안'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2024 우수 TTA 표준'으로 선정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 표준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광통신망에 PQC 기술을 적용한 사례로, 기존 전송망 인프라에서도 안전한 양자 보안 체계를 구현할 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NIA가 주관하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사업을 통해 개발한 PQC 마이그레이션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존 암호 체계의 취약점을 진단하고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이 플랫폼은 미국 NIST의 PQC 표준 알고리즘과 국내 KpqC 공모전 수상 알고리즘을 통합 제공하며, 산학연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은 "현재 사용 암호 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는 국가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 PQC 실증 사업자로서 공공 분야에 선제적으로 적용하고 보안 기준을 제시하여 대한민국 양자 보안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겠다"며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PQC 기반 보안 환경을 고도화하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