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산업이 개발한 어군 탐지 전용 드론이 참치 어군을 찾기 위해 비행하고 있다. (사진=동원산업 제공)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동원산업은 세계 최초로 어군 탐지(어탐) 전용 드론을 개발하여 조업 현장에 본격적으로 투입했다고 20일 밝혔다. 동원산업은 전통 수산업에 어탐 드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기술 기반 수산업으로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기존 수산 기업들은 어군을 찾기 위해 헬리콥터나 일반 상업용 드론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어탐만을 목적으로 설계 단계부터 맞춤 제작된 드론은 이번이 처음이다. 약 2년간의 연구 개발 끝에 완성된 어탐 드론은 선망선인 '오션 에이스(OCEAN ACE)호'에 우선 탑재되었으며, 2026년까지 총 13척의 선망선에 도입될 계획이다.
어탐 드론 개발 프로젝트는 동원그룹의 연구 개발 총괄 조직인 종합기술원이 주도했다. 종합기술원은 그룹 전반의 생산성 향상 및 기술 개발 가속화를 위해 2023년 설립됐으며, 최근 동원산업 기술 부문으로 재편됐다. 종합기술원 기술진은 국내 드론 제조 전문 회사인 프리뉴와 협력하여 비행 시간, 속도, 무선 통신 거리, 풍속 저항 등 원양 조업 환경에 필요한 요소를 설계에 반영했다. 특히 이동 중인 선박에서의 자동 이착륙 기능을 최적화하여 원양의 특수한 조건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어탐 드론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친환경성이다. 헬리콥터와 기존 범용 드론은 화석 연료를 사용해 탄소를 배출하는 반면, 어탐 드론은 배터리로 작동하여 연료 소모가 없다. 모든 헬리콥터와 범용 드론을 어탐 드론으로 대체할 경우 연간 20만 리터의 연료 사용을 줄여 약 5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어탐 드론은 안전 사고 위험이 적고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는 해상 환경의 다양한 변수 속에서 사고를 예방하고 성능 저하 없이 지속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 탑재된 고밀도 배터리는 세계 최대 수준 용량으로 기존 드론 대비 연간 비행 시간이 2배 이상 길다. 최대 비행 속도는 120km/h로 이동 중인 선박이나 참치 어군보다 빨라 조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동원산업은 향후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를 추가 도입하여 어탐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어탐용 AI 소프트웨어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참치 어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백파 등 신호를 정밀하게 식별하고, 이를 관제 타워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조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백파는 참치 떼가 수면 근처의 멸치 떼 등을 잡아먹을 때 발생하는 흰 물살을 의미한다.
동원산업이 첨단 기술을 조업 방식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79년 국내 최초로 헬리콥터 탑재식 선망선을 도입했으며, 2022년에는 범용 드론을 활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헬리콥터는 안전 사고 위험 및 탄소 배출 문제가 있고, 일반 드론은 해상 환경에 취약하여 고장 시 재가동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향후 어탐 드론이 기존 헬리콥터와 범용 드론을 대체하게 되면 연료비 등 제반 비용을 최대 60%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원산업 관계자는 "독자 기술로 개발한 어탐 전용 드론이 선진 어업 시스템 구축을 선도하는 의미가 크다"며 "안전성, 생산성, 경제성을 확보하며 친환경적인 어업을 가능하게 할 어탐 드론이 글로벌 수산업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