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직원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연구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제공)
[기업뉴스TV=박현진 기자] LG유플러스가 6G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 네트워크 기술인 ‘전광형(All-Photonic)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의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기술 실증은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LG유플러스는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인피네라와 주니퍼네트웍스와 협력하여 이 기술을 개발했다.
전광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는 전기신호와 광신호 간의 변환을 최소화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폭발적인 트래픽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LG유플러스는 이전에 발표한 ‘6G 백서’에서 지속 가능성을 6G의 비전 중 하나로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칩셋, 단말, 네트워크 장비, 인프라 시설, 주파수 등 전반에 걸쳐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국내외 통신사업자들은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 기술 확보를 위해 전송망에서 전력 사용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거나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전송망 분야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적은 전송 기술과 전력 사용을 줄인 소자 구성을 채택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전송 기술 측면에서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전광형 트랜스포트 네트워크를 연구해왔다. 이 기술의 핵심은 전송망 장비 구조에서 에너지 소비가 높은 전기 신호와 광신호 간의 변환을 최소화하여 전광형(All Photonic) 장비 소자로 망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번 실증을 통해 LG유플러스는 6G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선제적인 기술을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6G를 준비하기 위해 AI, 오픈 네트워크·오픈랜, 네트워크 API 등 다양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 성과는 오는 20일 코엑스에서 개최될 예정인 ‘2024 대한민국 전파 산업대전’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LG유플러스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연구에 대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6G 전송망의 핵심 기술로 예상되는 전광형(All Optic) 장비의 상용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관련 업계와 협력하여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