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의 영상 콘텐츠 ‘차이나핏’이 누적 조회수 20만 회를 기록했다. (사진=미래에셋증권)
[기업뉴스TV=김영빈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중국 현지 기술 혁신을 직접 체험하고 소개한 영상 콘텐츠 '차이나핏'이 누적 조회수 20만 회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콘텐츠는 미래에셋증권 우수 PB(프라이빗 뱅커)로 선정된 장의성 더 세이지 패밀리오피스 지점장, 최홍석 도곡 WM2팀장, 이찬구 더 세이지 패밀리오피스2팀 수석매니저가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4일까지 중국 항저우와 심천의 주요 테크 기업 및 산업 현장을 탐방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지난 4월 말부터 미래에셋증권 공식 유튜브 채널 '스마트머니'에서 총 5개 시리즈로 공개됐다.
영상에서는 알리바바, 바이두, BYD 등 중국 대표 기술 기업의 혁신 현장과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디지털화 및 스마트화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기술 경쟁 구도 재편 속에서 미국 중심 투자 포트폴리오를 중국 기술주로 분산할 필요성도 제시됐다.
시리즈 첫 편은 '얼굴만 있으면 끝! 중국 AI가 바꾸는 세상'을 주제로, 중국 AI 기술이 일상에 깊숙이 침투한 모습을 조명했다. 얼굴 인식 기반 기술이 상업, 보안, 공공 영역 전반에 적용된 점을 설명하며 빅데이터 기반 중국 AI 발전 속도를 보여줬다.
이어 알리바바 무인 매장 허마셴성을 중심으로 중국 스마트 유통 현장을 소개했다. 앱 기반 구매, 자동 배송, 냉장 드론 등 소비자 생활에 밀착된 기술 확산 현실을 담았다.
3편과 4편에서는 샤오미, BYD, 리오토, 화웨이 등 생산 공정 및 현지 기술력을 체험한 PB들이 중국 전기차 시장 경쟁력을 분석한 내용과 심천 기반 스타트업 및 중견 테크 기업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설명했다.
마지막 편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중국 기업 성장 가능성과 글로벌 자본 시장 시각을 다뤘다. 탐방을 마친 3인의 PB들이 투자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시리즈를 마무리했다.
장의성 더세이지 패밀리오피스 지점장은 "중국이 정부 차원에서 비즈니스를 추진한 결과 딥시크라는 기술로 증명되었다"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25년은 중국 테크 기업에 관심을 갖고 포트폴리오에 편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장기적 관점으로 중국 시장을 보며 '글로벌 자산 배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미국 중심 포트폴리오를 성장 가능성이 큰 중국 기술주와 인도 소비 관련 주 등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번 '차이나핏' 콘텐츠도 이 전략의 연장선에서 중국 혁신 현장을 살펴보고 투자자에게 전략적 투자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한편 미래에셋증권은 '차이나핏'과 다른 시선으로 중국 시장을 조명하는 쇼츠 콘텐츠 '차이나핏고' 3편도 제작해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